우선 정간보 율명(음계)부터 볼까요?
* 율 명
황종(黃鐘) - 대려(大呂) - 태주(太嗾) - 협종(夾鐘) - 고선(姑선)
중려(仲呂) - 유빈(蕤賓) - 임종(林鐘) - 이칙(夷則) - 남려(南呂)
무역(無역) - 응종(應鐘) - 황 - 대 - 태 - 협 - 고 - 중...이 됩니다.
황 -대- 태 -협-고- 중 -유- 임 -이- 남 - 무- 응 - 황 이 있지만
황 - 태 - 중 - 임 - 황 의 다섯 개가 5音으로 기준이 됩니다.
* 청음 훈련 방법.
1. 우선 청음을 들으며 훈련을 합니다.
-> 하루에 몇 번씩이라도 자주 듣는것이 중요 합니다.
-> 모든 과정을 한번에 듣지말고 번호 순서대로 단계적으로 듣기를 합니다.
-> 들으면서 소리낼 수 있다면 들으며 입으로 소리내서(시창) 그 소리나는 음이
귀에 익어야 빨라집니다. 반드시 하셔야 합니다.
=> 궁극적으로 시창(구음)으로 낸 소리를 기준하여 스케일 할 수 있을 정도여야 합니다.
-> 듣지만 말고 자주 튜닝기로 여기에 분류된 각 음을 듣고 5분 후
다시 들으며 음을 맞추는 훈련을 합니다. 이때 누군가 도움이 필요하겠죠?
-> 청음훈련은 소리듣고 => 5분 후 다시 순서대로 확인하고=> 소리듣고 => 순서바꿔 확인하고
=> 계속 반복 후 => 간격을 5분에서 10분 후로, 20분 후로, 늘려가면서 익힌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* 두번째 俠 - 姑 - 仲 - 유 - 林 으로
중- 황에서 중을 기준하여 아래 2개, 위로 2개를 비교하면서 정확한 仲음을 익입니다.
'국악-해금곡,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오선보를 정간보로 바꿀때 기준 음 찾기. (0) | 2011.11.11 |
---|---|
[스크랩] 안현법(按絃法) - 운지법 - 포지션 (0) | 2011.11.11 |
[스크랩] 튜닝기의 번호별 음과 조의 기준 (0) | 2011.11.11 |
[스크랩] 진달래 - 정수년 - 해금 (0) | 2011.11.11 |
[스크랩] 세상에서 아름다운것들 - 해금 (0) | 2011.11.11 |